서론
데이미언 셔젤 감독의 위플래쉬는 단순한 재즈 드러머 이야기 그 이상입니다. 이 영화는 집착과 완벽주의, 그리고 위대함을 얻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 고통을 날카롭게 파고듭니다. 마일스 텔러와 J.K. 시먼스의 강렬한 연기는, 우리가 “탁월함”이라는 단어에 부여하는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좁은 재즈룸 안에서 벌어지는 고도의 심리전
영화는 첫 장면부터 강한 긴장감을 조성합니다. 앤드류 니먼(마일스 텔러)은 엘리트 음악학교인 셰퍼 콘서버토리에 들어가기 위해, 그의 모든 박자에 혼을 실어 연주합니다. 연습실의 밀폐된 공간은 그의 스트레스를 고조시키고, 그가 느끼는 압박감은 관객에게 그대로 전달됩니다.
폭군 같은 멘토, 플레처의 가혹한 교육 방식
J.K. 시먼스가 연기한 플레처는 교육자라기보다 심리전을 펼치는 독재자에 가깝습니다.
- 그는 학생들에게 욕설을 퍼붓고, 정서적으로 흔들리게 만듭니다.
- “내가 한 말은 한 번만 한다!”라는 대사는 그의 철학을 상징합니다.
그의 방법은 학생을 망가뜨리는 동시에 천재로 만들 수 있다는 신념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로 인해 관객은 “위대함을 위해서라면 폭력도 정당화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직면하게 됩니다.
집착이 관계와 건강에 끼친 대가
앤드류는 음악 외의 모든 것을 점점 포기합니다. 아버지의 생일을 잊고, 여자친구 니콜과 이별하며, 식사나 수면조차 무시합니다. 이처럼 좁아진 세계관은 결국 그의 정신과 육체 모두에 큰 타격을 입힙니다. 끝없는 연습과 압박감 속에서 그는 점차 인간성을 잃어갑니다.
드럼 솔로, 억압에서 해방으로의 전환점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앤드류는 예정보다 다른 곡을 연주하며 솔로를 시작합니다. 이 장면은 단순한 음악 연주가 아니라, 자신의 주도권을 되찾는 선언입니다. 카메라는 그의 땀, 손놀림, 감정의 떨림까지도 포착하며, 이 순간을 마치 영적 해방처럼 연출합니다. 고통의 결과물로서의 예술이 이토록 황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비판: 이 결말은 정당했는가?
위플래쉬는 완벽주의의 어두운 이면을 솔직하게 그려냅니다. 동시에, 극적인 음악적 성취를 찬양하기도 합니다.
- 어떤 관객은 이 영화를 “성공 스토리”로 해석합니다.
- 다른 이들은, 주인공이 거의 파괴당하는 과정을 보고 경고로 받아들입니다.
이 영화는 그 중간 어딘가에서 묘하게 균형을 잡고 있으며, 정답을 제시하지 않고 질문만 남깁니다.
결론
위플래쉬는 우리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당신은 위대함을 위해 무엇까지 포기할 수 있는가?” 연주가 끝나도 영화는 쉽게 잊히지 않습니다. 드럼 스틱의 울림과 플레처의 냉혹한 시선은 오랫동안 머릿속을 맴돕니다. 감동일 수도, 경고일 수도 있는 이 영화는 그만큼 강렬합니다.
댓글 쓰기